좌측 메뉴에 인스턴스 -> 인스턴스 버튼을 누르면 현재 기동중인 인스턴스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.

이제 인스턴스 접속을 위한 탄력적 ip 설정을 해보겠다.
- 탄력적 ip를 사용 하는 이유
로컬서버에서는 보통 고정된 IP 주소를 사용하지만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다릅니다.
보통 가상 인터넷 서버 EC2(AWS 기준) 의 public IPv4 주소를 이용에 서버에 접속을 하는데, 이 Pulbic IPv4주소는 서버가 중지, 중단, 일시정지 등 얼마든지 유동적으로 변해버립니다.
AWS 에서 탄력적 IP란, 동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 고정된 정적인 IPv4 주소를 가지는 주소입니다.
좌측 메뉴 -> 네트워크 및 보안 -> 탄력적 ip 클릭

탄력적 IP 주소 할당 클릭


할당 버튼 클릭 후 ip 가 할당이 되면 우측의 작업 버튼 클릭

이후 할당된 EIP를 선택하고 작업 -> 탄력적 IP 주소 연결을 클릭


연결 버튼을 누르면 연결되었다는 메세지와 함께 ip주소가 할당된 걸 볼 수있다.

'클라우드 컴퓨팅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EC2 Ubuntu, OpenJDK 11 설치 (0) | 2023.08.06 |
---|---|
[AWS] EC2 Linux Ubuntu 서버 초기 설정 (0) | 2023.08.06 |
[AWS] EC2 인스턴스 SSH 접속 윈도우 터미널 사용 (0) | 2023.08.06 |
[AWS] EC2 인스턴스 SSH 접속 putty 사용 (0) | 2023.07.30 |
[AWS] EC2 인스턴스 생성 (0) | 2023.07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