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프로세스 2

3-2.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ps

1. ps (process status)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. ps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, 프로세스 ID(PID), CPU 사용량, 메모리 사용량,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. # ps [-option] [option] -a: 전체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 출력 -e: 명령문이 실행된 후 프로세스 환경 변수를 출력 -l: 결과를 long format(상세하게) 출력 -u: 상세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출력 사용자 이름, CPU 사용량, 메모리 사용량 등의 정보가 포함. -x: 커맨드 라인 옵션과 상관없이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. 일반적으로 ps 명령어는 터미널에서 직접 실행되는 프로세스만 표시하지만, -x 옵션을 사용하면..

3-1. 리눅스 프로세스 대한 주요 개념

1. 프로세스 개념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. 운영 체제는 각 프로세스에 고유한 주소 공간과 자원을 할당하여 독립적 으로 실행됩니다. 각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ID (PID)를 가지며, PID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구분합니다. 프로세스는 여러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, 주요 상태로는 실행(Running), 대기(Waiting), 중지(Stopped), 종료 (Terminated) 등이 있습니다. 프로세스는 운영 체제로부터 시스템 리소스를 할당받고, CPU 실행 시간을 할당받아 실행됩니다. 2.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ps :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top :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명령어 htop : top 명령어의 개선된 버전으로, 더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