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ps (process status)
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. ps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, 프로세스 ID(PID), CPU 사용량, 메모리 사용량,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.
# ps [-option]
[option]
-a: 전체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 출력
-e: 명령문이 실행된 후 프로세스 환경 변수를 출력
-l: 결과를 long format(상세하게) 출력
-u: 상세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출력 사용자 이름, CPU 사용량, 메모리 사용량 등의 정보가 포함.
-x: 커맨드 라인 옵션과 상관없이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. 일반적으로 ps 명령어는 터미널에서 직접 실행되는 프로세스만 표시하지만, -x 옵션을 사용하면 터미널과 무관하게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
-f: 프로세스를 트리구조로 출력
# ps -auxf
# ps -ef
ps 결과 메뉴
- USER: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사용자의 ID
- PID: 프로세스의 고유한 ID
- %CPU : 프로세스의 CPU 점유율
- %MEM : 프로세스의 메모리 점유율
- VSZ : 가상메모리 내의 프로세스 크기
- RSS : 프로세스의 메모리 크기
- PPID: 부모 프로세스의 PID (Parent Process ID)
- C: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
- STIME: 프로세스가 시작된 시간
- TTY: 프로세스가 연결된 터미널 또는 ? (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경우)
- TIME: 프로세스가 실행된 총 시간
- CMD: 프로세스를 실행한 커맨드 라인 명령어
- STAT: 프로세스 상태코드(하단 참조)
※ 프로세스 상태 코드
R (Running): 프로세스가 현재 실행 중인 상태를 나타냅니다. CPU를 할당받아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
S (Sleeping):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로서,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.
D (Disk Sleep): 프로세스가 디스크 입출력 작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.
T (Stopped): 프로세스가 중지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상태를 나타냅니다. 보통 SIGSTOP 시그널을 받은 프로세스가 해당 상태에 놓입니다.
Z (Zombie):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지만 부모 프로세스가 해당 프로세스의 종료 상태를 확인하지 않아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.
I (Idle): 프로세스가 아이들 상태로, 현재 실행 가능한 다른 프로세스가 없어서 CPU 할당이 없는 상태를 나타냅니다.
< (High-priority): 높은 우선순위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냅니다.
N (Low-priority): 낮은 우선순위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냅니다.
'시스템 관리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-3.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top (0) | 2023.08.08 |
---|---|
3-3.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kill (0) | 2023.08.02 |
3-1. 리눅스 프로세스 대한 주요 개념 (0) | 2023.08.02 |
2-3. 리눅스 기본(파일 관련 명령어) ln(link) (0) | 2023.07.30 |
2-3. 리눅스 기본(파일 관련 명령어) grep (0) | 2023.07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