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스템 관리/리눅스

4-5. 리눅스 사용자 및 권한 관리 - 사용자 계정 수정 / 삭제

코딩금융치료 2023. 8. 28. 21:31

1. 사용자 계정 수정 

  - usermod

# usermod [option] <username>

[option]

 -u [uid]: 사용자 ID 번호

 -o: UID를 중복하여 계정 수정 

 -g [group-name]: 사용자 기본 그룹명 또는 그룹번호(GID)

 -G group-list: 추가 그룹들의 이름과 번호 목록으로 각 그룹은 콤마로 구분

 -d home-dir:  기본 홈 디렉토리 대신 사용될 홈 디렉토리 지정 

 -s : 로그인 쉘, (디폴트 /bin/sh)

 -c comment : 사용자에 대한 설명

 -l new_name : 새로운 이름으로 수정

 -f days : 암호가 만료된 후 계정이 만료될 때까지의 날짜 수 (0:비활성화, 1:활성화)

 -e date : 계정 만료기한 YYYY-MM-DD 날짜 형식으로 지정

 -p password : 사용자 암호

 -L :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잠금 상태로 만든다.

 -U : 패스워드의 잠금을 해제한다.

 

옵션을 보면 사용자 계정 생성할 때와 비슷하다. 

사용자 계정 명을 수정 하여 보겠다.

 ex) 

# usermod -l <바꿀유저명> <대상유저명>

newuser 라는 계정 명을 olduser로 변경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.

변경전 new user

명령어를 실행하고 유저 리스트를 확인해보면

변경후 olduser

계정명이 바뀐 걸 확인할 수 있다. 하지만 홈 디렉터리를 변경하지 않아 기존의 newuser 디렉토리가 그대로 

쓰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.

 

1. 사용자 계정 삭제

  - userdel

사용자의 계정 삭제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할 수 있다.

# userdel <username>

[option]

 -r : 홈디렉토리 까지 삭제

 

홈디렉토리까지 같이 삭제를 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.

# userdel -r <username>

홈 디렉토리까지 삭제된 걸 확인할 수 있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