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스템 관리 32

2-3. 리눅스 기본(파일 관련 명령어) mv

1. mv(move)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, 이름을 변경 할 때 사용한다. 즉, 같은 디렉토리 안에서는 이름을 변경하고, 디렉토리가 다른 경우에는 파일을 이동시킨다. 옮길 파일들은 하나일 수도 있고, 와일드카드(*)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파일을 지정할 수 도 있다. # mv [-option] source_file dest_file [option] -f : 기존에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있는 경우,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않고 강제적으로 파일을 이동한다.(덮어쓰기 한다.) -b : 기존 파일이 이미 있어, 지워지는 것을 대비해 백업 파일을 만든다. -i : 파일을 덮어쓰기 전에 사용자에게 확인한다. ex) # mv myfile2.txt myfile4.txt

2-3. 리눅스 기본(파일 관련 명령어) cp

1. cp(copy)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한다. - 복사하려는 소스 파일과 저장될 타켓 파일의 위치나 이름을 나타내는 두개의 인자가 필요하다. - 파일과 디렉토리의 위치를 나타낼 때는 상대, 절대 경로명을 이용하여 명시할 수 있으며, 경로명이 생략된 경우에는 현재 디렉토리 안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. - 타켓 파일명이 따로 주어지지 않으면 소스 파일과 같은 이름으로 복사 된다. # cp [-option] source_file dest_file [option] -a: 가능한한 원 파일의 구조와 속성을 그대로 복사한다. (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속성과 퍼미션을 보존하여 복사) -b: 복사할 때 덮어쓰게 되는 파일은 백업을 만든다. -d: 심볼릭 링크는 심볼릭 링크로 복사한다. 그리고..

2-3. 리눅스 기본(파일 관련 명령어) - ls

1. ls(list)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디렉토리의 정보를 표시 # ls [option] file [option] -a: 도트로 시작되는 이름 (숨겨진 파일) 을 가진 파일명도 전부 보여준다. -C: 가로 순서로 나열하여 출력한다. -x: 세로 순서로 나열하여 출력한다. -d: 현재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. -l: 각 파일들에 대한 소유자, 권한, 갱신일 등의 자세한 정보를 출력한다. -s: 파일이 얼마나 많은 디스크 블록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보여준다. -t: 파일 갱신일 순서대로 정렬한다. -u: 엑세스(access)한 날짜 순서대로 정렬한다. -c: inode가 마지막 바꾸니 시간 순서대로 정렬한다. -r: 정렬된 순서의 역으로 출력한다. -i: 파일의 inode 번호를 보여준다. -F: ..

2-2. 리눅스 기본(디렉토리 관련 명령어)

1. 리눅스 명령어 형식 # command [-options] 리눅스 명령어는 command line(프롬프트 상태) 에서 실행하며, 대소문자를 구별한다. 다양한 옵션은 man 페이지나 help를 참고 할 수 있다. 2. cd(Change Directory) 현재의 디렉토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위치 변경 [option] . : 현재 디렉토리 .. : 상위 디렉토리 ~ :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- : 이전에 위치했던 디렉토리 현재에서 디렉토리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가장 많이 쓰이는 명령어 중 하나다. cd 명령뒤에 이동할 디렉토리 경로명을 명시하면 된다. 명령행에 경로명이 없이 cd만 실행 했을 경우,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 # cd ../home : 현 위치보다 상위에 있는 디렉토리 아..

umask 란

umask는 유닉스 및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, 새로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기본 퍼미션(권한)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. umask 값은 파일 생성 시 기본 퍼미션에서 사용할 권한을 마스킹(가리는)하는 비트 마스크입니다. umask 값은 파일의 기본 퍼미션에서 각 권한 비트를 뺀 결과를 나타냅니다. 즉, umask 값에 의해 기본 퍼미션에서 허용되지 않는 권한이 제거됩니다. 보통 umask 값은 3자리 숫자로 표현되며, 각 자리는 8진수로 표현된 권한 비트의 마스크를 나타냅니다. 첫 번째 자리는 파일의 소유자, 두 번째 자리는 파일의 그룹 소유자, 세 번째 자리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, umask 값이 022인 경우, 새로운 파일은 기본적으로 소유자에게는 읽기와 쓰기..

2-1. 리눅스 기본(File 과 Directory)

1. 파일 및 디렉토리 명명법 - 이름 길이 : 최대 255문자 (ext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의 최대 길이는 255자) - 대소문자 구분 - 확장자를 파일 내용 종류 표시(.sh, .c, .conf등) 2. 특수 디렉토리 - . : 현재 디렉토리 - .. : 상위 디렉토리 - / : 최상위 디렉토리 - ~ :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- - : 이전에 위치했던 디렉토리 ex) cd(change directory) 명령어를 이용한 예시

1. 리눅스 란?

리눅스(Linux)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오픈 소스 운영 체제입니다. 1. 개요: - 오픈 소스: 리눅스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,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는 개발자들이 커스터마이즈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, 커뮤니티 기여를 통해 계속 발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 - 멀티유저, 멀티태스킹: 리눅스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에 접속하고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멀티유저 및 멀티태스킹 환경을 제공합니다. - 안정성과 신뢰성: 리눅스는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은 운영 체제로 알려져 있습니다. 오랜 기간 동안 안정성을 검증받고 개선되어 왔으며, 다양한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운영을 보장합니다. 2. 장점: - 다양한 배포판: 리눅스에는 다양한 배포판(예:..

리눅스 스터디 커리큘럼

1. 기본 리눅스 개념 및 명령어: - 리눅스 운영 체제의 개요 및 장점 - 기본 리눅스 명령어 (ls, cd, mkdir, rm, mv, 등) 2. 파일 시스템과 디렉토리 관리: - 파일 시스템의 구조와 계층 -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명령어 (cp, grep, find, 등) 3. 사용자 및 권한 관리: - 사용자 및 그룹의 생성과 관리 -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설정 및 관리 4. 프로세스 관리: - 프로세스 개념과 관리 - 프로세스 실행, 중지, 모니터링 등 관련 명령어 (ps, top, kill, 등) 5. 패키지 관리: - 패키지 관리 시스템 (예: apt, yum)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설치와 업데이트 6. 네트워크 설정과 관리: - IP 주소 할당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- 방화벽 설정과..

WSL 2 설치하기

1. Windows Terminal 설치 1) Microsoft Store에서 설치하기 윈도우10인 경우 왼쪽 하단의 윈도우 아이콘 클릭 후 'Microsoft Store' 검색 검색창에 'Windows Terminal' 검색 후 다운로드 ※ cmd로 진행 하여도 무방합니다. 2) Microsoft 홈페이지에서 설치하기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https://apps.microsoft.com/store/detail/windows-terminal/9N0DX20HK701?hl=ko-kr&gl=kr&rtc=1&activetab=pivot%3Aoverviewtab 2. WSL 활성화 및 Ubuntu 설치 1) 준비 - WSL (Windows Subsystem for Linux) - WSL를 ..